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행복도시 사하, 절경을 품은 철새의 고장 새로운 비전을 품은 도시로 변화하고 있습니다.

다대동 (1,2동)

다대동 (1,2동)

다대(多大)라는 이름을 답달(畓達)·다다라(多多羅)·다다라(多多良)에서 변하여 생긴 이름으로 부산의 지명중 그 유래가 가장 오래되는 것

다대 1동, 다대 2동

다대동(多大洞)은 낙동강구(洛東江口)에 자리잡고 있어 옛날부터 국방의 요새지로 주목을 끌어 온 곳이다. 삼국사기(三國史記) 자비왕조(慈悲王條)의 기록을 보면 5년 여름 5월 왜인이 활개성을 쳐서 사람 1,000여명을 포로로 잡아갔다. 6년 봄 2월 왜인이 삽량성(梁山)에 침입했으나 패하여 달아났다. 17년 일모(一牟)·사호(沙戶)·광석(廣石)·답달(畓達)·구례(仇禮)·좌라(坐羅) 등 성(城)을 쌓았다.

<五年夏五月 倭人襲破活開城 虜人一千而去 六年春二月 倭人揷良城 不克而去 十七年 築一牟·沙戶·廣石·畓達·仇禮·坐羅等城...>라는 기록이 있다. 여기에 기록된 답달(畓達)은 다대(多大)를 의미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답달」의「답(畓)」은 인마잡답(人馬雜畓)으로 거듭(重)을 의미 또는 현(顯) 저(著)를 의미하며, 오늘의 다대(多大)의 뜻을 그대로 나타내고 있다.

  • 또한 일본서기(日本書記)에도 다다라진·다다라(多多羅)라고 기록해 놓고 있다. 신찬성씨록(新撰姓氏錄)이란 일본 고서(古書)에는 다다라(多多良)라고 한 것을 보면, 다대(多大)라는 이름을 답달(畓達)·다다라(多多羅)·다다라(多多良)에서 변하여 생긴 이름으로 부산의 지명(地名)중 그 유래가 가장 오래되는 것이다.

  • 다대동에 인류가 살기 시작한 것은 5~6000년 전부터라고 생각한다.
    몰운대(沒雲台) 북쪽에 남겨놓은 다대포 패총(貝塚)으로 신석기시대(新石器時代)부터 사람이 살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다대포 패총(貝塚)의 아래문화층에서 기하문계(幾何文係)토기와 민무늬토기(無文土器)가 발견되고, 윗문화층에서 회색(灰色) 경질토기계통(硬質土器系統)의 유물(遺物)이 출토되었다. 따라서 이 두 문화는 성격이 달라 신석기시대 말기에 아래층 문화의 사람이 살다가 버리고 간 뒤에 윗층 문화의 주민이 이곳에 살았던 것으로 추측된다.

  • 토기편 이외의 유물로는 흑요석, 골각기(骨角器) 등이 있으며, 사슴뿔로 만든 칼자루도 발견되었다. 이 시대에는 어로(漁撈) 중심의 경제생활이었다.
    신석기 시대에 이어 청동기(靑銅器) 시대인 마제석기(磨製石器)의 유물이 발견된 것을 보면 그 시대에도 사람이 살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현재 다대포 북쪽 응봉(鷹峰)산의 옛 봉수대(烽燧台)에서 수 점의 마제석부(磨製石斧)와 석검(石劍) 등이 발견되었다.

  • 그리고, 현 성창기업 자리에 반도목재주식회사(半島木材株式會社) 공장을 건설할 때 마제석검(磨製石劍) 한 개가 출토되었는데 김해(金海) 무계리(茂溪里)와 괴정동(槐亭洞)에서 나온 석검과 동일하다. 다대포는 일본의 대마도(對馬島)와 마주 보고 있는 곳이며, 3세기경부터 일본과의 교섭이 있었으므로, 한국문헌인「삼국사기(三國史記)」나「삼국유사(三國遺事)」에 기록은 없지만 일본측 문헌에 나오고 있는 것이다. 다라진은 지금의 다대동 또는 다대포지역인 것은 분명하다.

  • 대저(大渚)까지 포함시키는 설도 있고, 장림포설(長林浦說)도 있으나, 왜국에서 한반도로 들어오는 길목이었고, 한일통교상(韓日通交上)의 요지였기에 일본측의 사서(史書)에 자주 나온 것이다. 여말(麗末)부터 왜구의 침입이 잦고, 약탈이 시작되면서 대마도와 마주하고 한반도의 입구에 자리한 다대포는 왜구에게 짓밟혔으리라는 것은 명약관화(明若觀火)이다.

  • 다대포는 국방의 요새로서 조선시대에 경상좌도 7진(慶尙佐道七鎭)「부산」 「다대」 「서평」 「포이」 「개운」 「두모」 「서행」가운데 국방의 요새지로 가장 중요시하여 다른 진(鎭)의 2배의 병선(兵船)을 배치하였다.
    뿐만 아니라 전국 가운데서 다대포첨사(多大浦僉使)와 한만국경의 만포진첨사(滿浦鎭僉使)만은 무장(武將)으로 정삼품(正三品) 당상관(堂上官)만으로 임명하였으니, 이것은 수사(水使 : 수군절도사)와 동격이었다. 이러한 수군명장(水軍名將)들이 근무한 다대포에는 선인(先人)들의 무공(武功)을 알려 주는 많은 유적(遺蹟)이 남아 있다.

만족도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담당자
문화예술과 (051-220-4082)
최근업데이트
2024-1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