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행복도시 사하, 절경을 품은 철새의 고장 새로운 비전을 품은 도시로 변화하고 있습니다.

장림동 (1,2동)

장림동 (1,2동)

안장림(內長林), 바깥장림(外長林), 보덕포(補德浦 : 보득포, 부득포, 버득포) 등의 3개 지역이 합하여 이루어진 마을

장림 1동, 장림 2동

장림동(長林洞)은 신평동과 마주보고 있으며, 안장림(內長林), 바깥장림(外長林), 보덕포(補德浦 : 보득포, 부득포, 버득포) 등의 3개 지역이 합하여 이루어진 마을이다.

당초 바깥장림은 농업을, 안장림은 어업을 주업으로 생활형태를 갖추고 반농반어의 취락형태를 이룬 조용한 마을이었으나 지금은 안장림과 바깥장림이 주택으로 이어졌으며, 원래는 안장림이 고래의 장림이었고, 바깥장림은 부산과 다대포간(多大浦間)의 도로개설 이후 도로변에 집들이 들어서서 생긴 마을이다.

보덕포는 안장림에서 아미산 줄기가 북쪽에 끝나는 능선을 넘어 낙동강 강가에 가면 응봉 봉수대의 북쪽 기슭에 있다.

  • 영세농어민의 마을로 수십 채가 옹기종기 모여 있다. 보덕포에서 강안(江岸)을 끼고 작은 능선을 넘어 가파른 경사면을 내려가면 장대한 암벽(岩壁)이 있고, 그 밑에 강(江)을 향하여 입구가 있는 천연동굴이 있었다. 지금은 대부분 채석작업으로 파괴되었으나, 선사(先史) 이래의 주거지로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있는 곳이다.

  • 굴은 석회암층이 강류(江流)의 침식(侵蝕)으로 용해되어 생긴 공동(空洞)으로 넓은 암반이 내려앉아 형성된 곳으로 50여명이 앉을 수 있을 만하고, 약 20도 정도의 경사진 암반이 바닥을 이루고 있다. 보덕포와 안장림 사이의 강변 구릉(丘陵) 위에 개간된 밭이 있고 그곳에서 기원 1세기경의 김해문화기의 토기편이 나오는 패총이 있었다. 규모는 작으나, 조사를 할 겨를도 없이 폐멸되었고, 그 성격은 건너편 신평동 패총과 같은 것이다. 고목(古木)이 서 있는 안장림 일대는 대부분 사빈(砂濱)지대로 모래와 자갈이 쌓여 이룩된 땅이다.

  • 땅속에서 패각(貝殼)도 많이 나오며, 신라의 토기편이 곳곳에서 발견된다. 아미산에서 보덕포에 이르는 강안(江岸)의 능선을 응봉(鷹峰)이라고 부르며 봉수대가 있었고, 독수리(鷹)의 서식처로 알려지고 있다.
    지금도 독수리가 살고 있으며, 낙동강 하구의 철새들을 먹이로 하고 있다. 다대진(多大鎭)이 원래 장림동에 있다가 다대포(多大浦)로 옮겼다는 것은 경상도지리지(慶尙道地理誌), 동래부지(東萊府誌), 문헌비고(文獻備考) 등에 확실한 기록이 있다. 그러나, 언제 지금의 다대포로 옮겼는지는 알 수 없다.
    또한 진(鎭)이 다대로 옮기기 이전에 장림리의 어느 곳에 있었는지는 분명하지 않다. 다만 지리적인 여건을 생각해 보면 지금의 장림동과 신평동 사이가 아닐까 한다.

  • 그러나, 지금 같은 상황이었다면 물의 깊이가 얕아 군항(軍港)으로는 적합치 않은 점도 있다.
    장림의 옛 이름 중에 고다대(古多大)라고 전하는 말이 있는데, 신평동을 망후촌(望後村)으로 최근까지 불렀던 것을 보면 장림포(長林浦)의 위치와 규모를 대강 짐작할 수 있다.

  • 조선시대의 기록에 의하면 장림포에 염분이 있었다고 한다.
    경상도속찬지리지(慶尙道續撰地理誌)와 세종실록지리지(世宗實錄地理誌)의 기록을 보면 장림포에서는 조선초에 이미 제염을 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이곳에 바닷물을 졸여 소금을 만드는 가마가 있었고, 염세는 두지(斗地)마다 1양씩으로 정해져 해마다 4월까지 중앙의 균역청에 바쳤다.
    충무공전서(忠武公全書)에 따르면, 우리 수군(水軍)이 장림포 앞바다에서 왜선(倭船) 6척을 발견하고, 5척은 깨어 불살랐고, 1척을 불태운 뒤 낙오병의 목을 이몽구(李夢龜)가 베었다는 기록이 보인다.
    뿐만 아니라, 숙종때에 명지만(鳴旨灣)에 표착(標着)하여 장림포에 내박(來泊)한 왜선 1척을 서평만호장(西平萬戶將) 이연정(李淵廷)이 사문(査問)했다는 기록이 보인 것을 보면, 장림포는 조선시대 군사상의 요지인 것은 틀림없다.

  • 장림동은 그 후 한동안 낙동강 하구의 초라한 한촌(寒村)에 불과하였고, 영세 농어민들이 사는 한가로운 마을을 이루고 살았다. 그러나, 개항후 김(海苔) 생산지로서 그 명성을 날렸다. 해방전까지만 하여도 이곳에는 일본 사람들이 건너와서 김양식에 상당한 이익을 올렸었고, 이때부터 이곳 주민들의 생활수단이 되었다. 장림과 홍티(虹峠)에서 생산된 김을「장림 김」이라 하였고, 다 알아주는 특산물로 각광을 받게 되었다.
    1960년대 말까지만 해도 장림동에는 몇 채의 초가집이 있었으며, 집집마다 마루, 마당, 지붕위, 논밭 할 것 없이 새까맣게 김을 말리는 광경은 장관이었다.
만족도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담당자
문화관광홍보과 (051-220-4082)
최근업데이트
2024-01-24